Page

관련 포스팅

2023년 10월 10일 화요일

AWS Chapter01, Part1 - Cloud Computing Overview (Feat. AWS 공부 시작)

최근에 여러 회사에 지원을 하면서 느낀 점이 있다. 그것은 바로 누구나 흔하게 할줄 아는 것들만 해서는 절대로 차별화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의미에서 백엔드 개발자를 지향하는 내 입장에서는 AWS에 대해서 어느정도 지식이 있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물론 AWS도 굉장히 흔한(!) 기술이다. 하지만, 이 기술에 대해서 보다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그것을 증빙해줄 수 있는 무언가가 있다면 비단 취업을 위해서 뿐만아니라, 나 자신의 실력도 갖추게 되는 일타이득의 상황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다.

그리고 마침, AWS 스터디 모집이 되었고 그러한 갈증에 목말라있던 나는 단번에 그 스터디에 들어가게 된 것이다. 이것도 정말 기가막힌 우연의 일치라고나 할까? 얼마전에 아마존에 지원을 해서 시원하게 떨어졌는데, 그 당시 AWS에 근무하는 분의 조언이 바로 AWS 자격증을 하나 가지고 있어야 승부를 볼 수 있다는 것이었다.

스터디에서는 기본적으로 동영상 강좌를 시청하고, 자격증을 따는 것이 1차 목표로 설정되었고, 그 이후에는 뭔가 같이 AWS 안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는 것을 그 다음 목표로 잡게 되었다. 물론 BCIT CST의 마지막 학기라서 매우 정신이 없지만, AWS 공부를 위해 1주일에 2시간 투자하는 것 정도는 당연히 할만한 가치가 있다는 판단이다.

그래서 이렇게 공부한 내용을 포스팅으로 남겨서 나중에 리뷰할 때도 활용할 계획이다.


Cloud Computing Overview

Cloud computing defined

  1. Cloud computing is processing on the Internet or a private network the exact processor location is unknown
  2. Use of AWS can reduce hardware, operational, and deployment costs.
  3. Cloud computing still uses servers, they are simply hidden from view.

Benefits of cloud models

  1. Reduced cost
    1. Hardware cost
    2. Operational cost
      1. Physically management resource
    3. Deployment cost
  2. Increased
    1. Resiliency
      1. The ability of people or things to recover quickly after something unpleasant, such as shock, injury, tec.
      2. AWS는 미러 이미지로 이것을 커버한다.
    2. Performance
      1. 수 많은 visiting을 커버할 수 있다.
    3. Capacity
      1. Memory, Storage를 자유롭게 설정하고 사용할 수 있다.

Cloud computing models

  1. All components in the cloud
    1. Database
    2. Processing
    3. Storage
    4. Application logic
  2. Nothing on premises
    1. premises: the building and land near to it that a business owns or uses

Hybrid Deployment

  • Some resources are internal, others are in the cloud
    • Processing
    • Databases
    • Storage
    • Application logic

IaaS

  • Infrastructure s a Service
    • Entire infrastructure in the cloud
    • Platforms and software run on others' infra
    • You must manage it all

PaaS

  • Platform as a Service
    • You don't manage the infra
    • Applications are deployed on platforms

SaaS

  • Software as a Service
    • Someone else develops the software
    • You use it from the cloud

<추가 조사> IaaS, PaaS, SaaS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세 가지 주요 모델이다. 각각의 모델은 다른 사용자 요구에 맞춰 설계되었다.

  1.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기본적인 IT 인프라를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이다. 사용자는 가상 머신,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리소스를 직접 관리하고 설정할 수 있다.

    • 예시:
      • Amazon EC2 (Elastic Compute Cloud): AWS에서 제공하는 가상 서버 인스턴스 서비스다.
      • Google Compute Engine: Google Cloud에서 제공하는 가상 머신 서비스다.
      • Microsoft Azure Virtual Machines: Azure에서 제공하는 가상 서버 인스턴스 서비스다.
  2. PaaS (Platform as a Service): 개발자들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실행,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과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이다. 인프라 관리의 복잡성을 줄이고,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할 수 있게 해준다.

    • 예시:
      • Google App Engine: 애플리케이션을 서버 관리 없이 바로 배포하고 실행할 수 있는 Google Cloud의 플랫폼이다.
      • Heroku: 여러 언어와 프레임워크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PaaS 플랫폼이다.
      • Microsoft Azure App Service: 웹 애플리케이션과 RESTful API를 개발하고 호스팅하는 Azure의 서비스다.
  3. SaaS (Software as a Service): 클라우드에서 직접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이다. 사용자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유지 보수할 필요 없이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비스에 액세스한다.

    • 예시:
      • Google Workspace (구 G Suite): 이메일, 문서 작성, 캘린더, 클라우드 저장소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Google의 소프트웨어 스위트다.
      • Microsoft Office 365: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등의 Office 애플리케이션과 팀 협업 도구인 Teams 등을 제공하는 Microsoft의 소프트웨어 스위트다.
      • Salesforce: 클라우드 기반의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소프트웨어로, 기업들이 고객 관리와 관련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각기 다른 요구 사항과 환경에 맞춰 제공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적절한 서비스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좋겠다.

Summary

  • With cloud deployment, nothing is installed on premise but an Internet connection and network infrastructure solutions.
  • With hybrid cloud deployment, some resources are installed locally and others are in teh cloud
  • Infrastructure as a Service(Iaas) referenced a solution where the entire infrastructure is in the cloud.

AWS History

  • 2004: SQS, AWS public launch
  • 2006: S3, SQS, EC2 Services, AWS Official Re-launch
  • 2007: Simple DB
  • 2008: Elastic IP
  • 2009: Management Console VPC(Virtual Private Cloud)
  • 2010: Route 53, SNS, IAM
  • 2011: ElastiCache, CloudFormation
  • 2012: SWF, DynamoDB, 160 New Features
  • 2014: Redshift(SSD-Storage)
  • 2015: CloudTrail, Data Pipeline, WAF, VPN Connectivity

Summary

  • AWS launched in 2006 as we know it today.
  • AWS certifications launched in 2013
  • Many services and features are added each year.

AWS Platform

  • 인터넷 상에서 AWS와 google drive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 Amazon RDS (Database)
  • Amazon VPC (Virtual Private Cloud for Networking)
  • AWS Foundation Services
    • Compute
    • Storage
    • Database
    • Network

Summary

  • An AWS instance is an instance (implementation) of an AWS machine image.
  • The primary AWS platform includes compute, storage, database, and networking
  • Additional services are available as well.

Quiz

네, 알겠다. 각 AWS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겠다.

  1. Glacier:

    • Glacier는 AWS에서 제공하는 저비용 아카이브 스토리지 서비스다. 오랜 시간 동안 액세스할 필요가 없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적합하다. Glacier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데이터 복원이 필요할 때에는 몇 시간 내에 복원할 수 있다.
    • Glacier is used for archival data storage. It can be configured for 3 to 5 minute recovery, 3 to 5 hour recovery, or 5 to 12 hour recovery.
  2. S3 Standard:

    • S3(Simple Storage Service) Standard는 AWS에서 제공하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의 기본 스토리지 클래스다. 이 클래스는 고성능, 저레이턴시, 고내구성을 제공하며,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적합하다. 웹 사이트의 이미지, 백업, 로그 파일 등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가져오는 데 사용된다.
  3. EBS (Elastic Block Store):

    • EBS는 EC2 인스턴스에 사용할 수 있는 블록 스토리지 서비스다. EBS 볼륨은 EC2 인스턴스와 독립적으로 지속되며, 인스턴스의 부팅 볼륨이나 추가 데이터 스토리지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워크로드에 따라 다양한 EBS 볼륨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4. CloudFront:

    • CloudFront는 AWS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서비스다.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더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 전세계의 여러 위치에 데이터를 캐싱한다. 웹 사이트의 이미지, 스타일시트, 자바스크립트 파일 등의 정적 콘텐츠를 빠르게 전달하는 데 사용되며, 동적 콘텐츠에 대해서도 빠른 응답 시간을 제공한다.

이렇게 각 서비스는 AWS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과 목적에 따라 설계되었다. 각 서비스의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상황에 사용하면 좋겠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관련 포스팅